해상풍력단지 건설은 해양 퇴적물에 어떤 영향을 주나요?

해양퇴적물

해상풍력단지 건설은 해양퇴적물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까요?

  • 해상풍력발전단지를 건설하게 되면 해양퇴적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될까요?
  • 대표적인 영향인 퇴적상 변화(조립질→세립질)는 유기물 및 중금속의 농도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이동성이 낮은 저서생물의 서식처를 교란하여 결과적으로 군집구조의 영향을 주게 됩니다.
  • 따라서, 퇴적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 해상풍력단지 건설 과정에 따른 환경변화 >

목록
구분 발생원인 환경변화
건설 시 파일링, 케이블 포설 퇴적물 재부유 및 붕괴퇴적상 변화(세립화)
운영 중 우수처리, 구조물 부식, 세굴, 진동 중금속, 유기물 증가 퇴적상 변화(세립화)




해양퇴적물 영향평가는 어떻게 하나요?

  • 해상풍력단지 건설이 퇴적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평가 항목 설정, 현장 조사 방법 및 분석 방법이 필요합니다.
  • 해양퇴적물 영향평가 항목은 입도, 유기물, 영양염류, 중금속 등을 포함한 총 15개입니다.
  • 분석의 전반적인 과정은 해양환경 공정 시험 기준(국립수산과학원, 2021)을 준수하였으며, 중금속의 경우 정확도 및 정밀도를 확보하기 위해 인증표준물질(CRM)을 시료와 동일하게 분석하였습니다.

< 해양퇴적물 항목 분석개요 >

목록
분석항목 조사 및 분석방법 등 전반적인 과정 비고
입도, 함수율, 강열감량(IL), 산휘발성황화물(AVS), 화학적산소요구량(COD), 총유기탄소(TOC), 중금속류(Cd, Cr, Cu, Pb, Zn, Ni, Li, As, Hg)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국립수산과학원, 2021) -


[ 현장조사 장비 ]

목록
반빈그랩 샘플러(Van veen grab sampler)를 이용한 해양퇴적물 채집


[ 퇴적물 분석 장비 ]

목록
중금속 분석장비
(ICP-MS, iCAP RQ, Thermo)
총유기탄소분석기
(CHNS analyzer, FlashSmart, Thermo)
레이저회절 입도분석기
(Mastersizer2000, Malvern)
퇴적물분쇄기
(Ballmill, ProPM04L, ProNEXTECH)
  • 해양퇴적물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 해역 특성을 고려한 기준과 비교가 필요합니다.
  • 해양환경 환경기준은 해역별 해양환경 상태 평가, 해양환경 기준 설정, 오염원 관리 정책, 오염된 해역의 복원계획 수립 및 해양오염관리를 위한 의사결정 과정에 필요한 과학, 기술적으로 정보에 활용됩니다(해양수산부, 2018).
  • ◈ 해양환경기준 [해양수산부 고시 제2018-10호, 2018.01.23.] (단위: mg/kg)

< 해양환경기준 >

목록
중금속류 비소 카드뮴 크롬 구리 수은 니켈 아연
주의기준(TEL) 14.5 0.75 116 20.5 0.11 47.2 44.0 68.4
관리기준(PEL) 75.5 2.72 181 64.4 0.62 80.5 119 157
(1) 주의 기준 (Threshold Effects Level, TEL): 부정적인 생태 영향이 거의 없을 것으로 예측되는 농도
(2) 관리 기준 (Probable Effects Level, PEL): 부정적인 생태 영향이 발현될 개연성이 매우 높은 농도
(3) 적용 방법 : 금속 농도가 입자 크기에 따라 변화하므로 입자 크기의 변화를 나타낼 수 있는 금속(Li)을 사용하여 보정된 금속 농도를 사용
- As, Cd, Cr, Hg, Ni, Pb는 시료와 각 기준 농도를 직접 비교
- Cu, Zn은 시료의 Li으로 측정 농도를 입도 보정하여 기준 농도와 비교


- 만일 시료의 Li이 33.1 ppm 이하이거나 입도 보정 농도가 음의 값을 보일 경우 별도의 입도보정 없이 주의 기준과 관리 기준에 직접 비교

출처 : 해양수산부

해양퇴적물 영향평가를 위한 연구에 대해 간략히 소개할게요.

  • 서남해 해상풍력 실증단지 건설사업 해역이용 협의 시 수립된 조사계획과 고창 및 부안 지역 주민 의견을 반영하여 공사 전·중·후로 나누어 조사 범위와 정점을 선정하였습니다.
  • 공사 전·중에 비해 공사 후의 정점 수가 적고, 범위가 좁기 때문에 퇴적물 항목별 값의 직접적인 비교 시 해석상 오류가 나타날 수 있어 평균값을 비교하였으며, 타 해역과의 비교분석을 위해 인근 해역에서 수행된 문헌조사 결과와 비교하였습니다.
목록
공사 전·중 정점도 공사 후 정점도 문헌조사 정점(해양환경공단, 2019)

< 공사 전·중·후 조사 시기 >

목록
구분 공사 전 공사 중 공사 후
해역이용협의 해양환경영향조사 해양환경영향조사
1차 2차 3차 4차 5차 1차 2차 3차 4차 5차 6차 1차 2차 3차
해양수질 - - - 14.11 15.08 17.08 17.10 18.04 18.07 19.05 19.08 20.11 21.03 21.09

관측결과를 살펴 볼까요.

  • 해양퇴적물 내 평균 입도는 공사 중에 다소 증가하지만, 전반적으로 비슷합니다.
  • 강열감량 및 대부분의 중금속 항목은 공사 중이 공사 전에 비해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고, 중금속은 모든 시기 및 정점에서 해양 환경기준의 주의 기준 이하입니다.
  • 문헌조사 결과와 비교해 보면 모든 항목에서 주변 해역의 변동 범위 내 수준입니다.

문헌조사 결과

[ 공사 전·중·후의 해양퇴적물 결과 및 문헌 조사와의 비교 ]

목록
평균입도 강열감량
카드뮴(Cd) 크롬(Cr)
입도보정 구리(Cu-Li) 납(Pb)
입도보정 아연(Zn-Li) 니켈(Ni)
비소(As) 수은(Hg)

  • 서남해 해상풍력 실증단지 해역의 퇴적물 평균 입도는 공사 이후 실트와 점토 비율의 증가로 다소 세립해지고 유기물 및 중금속 농도가 다소 증가하였습니다.
  • 퇴적물 입자가 작을수록 표면적이 커지게 되므로 입자가 작은 실트와 점토의 증가는 유기물과 중금속 농도 증가의 원인이 됩니다.


[ 공사 전·중 ·후의 점토와 실트 비율 및 평균입경과 머드 비율 ]



  • 서남해 해상풍력 실증단지 해역과 주변 해역에서 수행된 문헌조사의 퇴적물 변화양상을 비교분석한 결과, 실증단지와 주변 해역이 동일하게 퇴적상의 변화(세립화)를 보여 공통으로 나타나는 특성임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결론적으로, 실증단지 퇴적물 내 유기물 및 중금속의 증가 원인은 실증단지 주변 해역에서도 동일하게 일어나고 있는 퇴적상 변화에 따른 것으로 판단되었습니다.

[ 문헌조사의 점토와 실트 비율 및 평균입도와 머드 비율 ]

해양퇴적물 영향평가 결과를 보면 알 수 있어요!

서남해 해상풍력 실증단지 건설에 의한 해양퇴적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습니다.

  • 평균 입도는 공사 전에 비해 공사 중에 다소 증가하였으나 전반적으로 유사
  • 강열감량 및 중금속은 공사 중이 공사 전에 비해 다소 증가하는 경향
  • 중금속은 해양 환경기준의 주의기준을 만족, 기존 조사 결과의 변동 범위 수준
  • 퇴적상 변화양상(세립화)은 실증단지와 주변 해역 모두 유사한 변화 양상
  • 퇴적물 내 유기물 및 중금속의 증가는 퇴적상의 세립화에 의한 것으로 판단

연구 결과 해상풍력 단지 내 퇴적물의 세립화는 주변 해역에서도 나타나는 공통적인 현상으로 판단되지만,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환경변화 확인이 중요합니다.

본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No. 20203030020080, 해상풍력 단지 해양공간 환경 영향 분석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2020~2024)의 결과입니다(문의 : 한국해상풍력㈜ 박지산 팀장, anode@kowp.co.kr)